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테오필루 브라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테오필루 브라가주앙 샤가스아우구스투 드 바스콘셀루스두아르트 레이트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아폰수 코스타베르나르디누 마샤두비토르 우구 드 아제베두 코티뉴조아킹 피멘타 드 카스트루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조제 드 카스트루아폰수 코스타안토니우 조제 드 알메이다아폰수 코스타
임시제66대제67대제68대
조제 노르통 드 마투스시도니우 파이스주앙 두 칸투 이 카스트루주앙 타마그니니 바르보자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조제 헬바스도밍구스 페레이라알프레두 드 사 카르도주도밍구스 페레이라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안토니우 마리아 바프티스타조제 하무스 프레투안토니우 마리아 다 실바안토니우 그란주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알바루 드 카스트루리베라투 핀투베르나르디누 마샤두토메 드 바후스 케이로스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안토니우 그란주마누엘 마리아 코엘류카를루스 마이아 핀투프란시스쿠 쿠냐 레알
제85대제86대제87대제88대
안토니우 마리아 다 실바안토니우 지네스탈 마샤두알바루 드 카스트루알프레두 호드리게스 가스파르
제89대제90대제91대제92대
조제 도밍게스 두스 산투스비토리누 기마랑이스안토니우 마리아 다 실바도밍구스 페레이라
제93대
안토니우 마리아 다 실바
{{{-2 포르투갈 왕국 · 포르투갈 국가독재·제2공화국 · 포르투갈 제3공화국
관련 직위: 포르투갈 대통령 }}}




포르투갈 임시·제2대 대통령
주아킴 테오필루 페르난데스 브라가
Joaquim Teófilo Fernandes Braga
파일:Teófilo_Braga_(1915)_-_Fotografia_Vasques,_Lisboa_(Museu_da_Presidência_da_República).png
출생1843년 2월 24일
포르투갈 왕국 폰타델가다
사망1924년 1월 28일 (향년 80세)
포르투갈 제1공화국 리스본
국적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학력코임브라 대학교
재임기간임시 대통령 겸 총리
1910년 10월 5일 ~ 1911년 9월 4일
제2대 대통령
1915년 5월 29일 ~ 1915년 10월 5일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포르투갈의 대통령이자 시인.


2. 생애[편집]


1868년 학교를 졸업하고 1872년 리스본 대학교의 현대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낙천적이고 호전적인 기질을 지녀 문학적·역사적·사회적·정치적 주제로 수많은 작품을 썼고 몇 편의 시도 썼다.

그외에도 포르투갈의 민간 전승에 관한 여러 권의 책과, 초기의 노래와 발라드집을 출판하기도 했으며 포르투갈에서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를 추종한 선두 주자였다.

비록 포르투갈 문학의 전 역사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했으나, 부족한 균형 감각과 주관적 사회학적·철학적 이론들에 사실을 끼워 맞추는 으로 그가 모은 귀중한 자료들은 종종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가치를 상실한 이론화에 그치고 말았다.

투철한 공화주의자로서 1910년 포르투갈 제1공화국이 수립한 임시 정부의 대통령이 되었고, 1915년에 또다시 2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3. 여담[편집]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과 군주주의의 가풍을 지닌 집안 출신이었지만 본인은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비타협적 공화주의와 교권 반대주의로 유명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1:13:10에 나무위키 테오필루 브라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